홈으로
  • 프린트하기

산림문화

전통생활사와 산림
목표

산이 많은 우리나라는 그 만큼 산을 신성시하며 그 환경에 맞게 생활 방식을 적응하면서 생활하였다. 전통문화를 통해 산림이 우리 민족에게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기본자료
  • 우리 민족에게 숲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 단군신화의 근원도 산이며 인간의 삶이 끝난 후에 가는 곳도 산임
    • 산과 나무는 우리의 가치 체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상징의 대상으로 형상화되어 신화나 전설, 또는 문학과 예술 속까지 뿌리 깊이 나타나고 있음
  • 문화자원으로서의 숲
    • 천신, 일월신, 산악신 등과 도교의 신선 사상이 융합하여 영생을 상징하는 십장생 등이 있음
    • 신라의 고분 천마총의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 - 자작나무 47겹의 수피에 백마가 구름을 헤치고 역동적으로 날아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
    • 천마총 금관의 곡옥 - 풍요와 생명을 상징하는 생명의 나무
    • 건국 신화의 신단수 - 하늘과 지상을 연결시켜 주는 자연 조화 문화의 상징
  • 마을을 상징하는 마을숲
    • 조상들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마을 주변에 조성한 숲으로 문화적 상징물이며, 마을 문화의 장, 정주 생활의 산물임
    • 마을 주민들의 생활 형태가 이루어진 특별한 장소로서 공원적 기능, 문화 행위의 기능, 교육장소의 기능, 재해방지 기능, 신앙적 대항으로 숭배하는 종교 기능, 성곽과 군사시설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군사 기능, 풍치 기능 등 다양함
  • 산림자원 생산지로서의 숲
    • 옷 : 우리의 옛 조상들이 색을 넣을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어떤 신성함을 표현하거나 주술적인 의미로 사용하였는데, 천연염색 중에서 염색으로 사용하는 것은 식물이 대부분으로 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 등의 각각은 독특한 색소를 갖고 있어 염색이 가능함
    • 음식 : 밤, 잣, 대추 등 열매와 산채, 버섯, 생약제, 코르크 등 여러 부산물이 숲에서 생산
    • 집 : 전통 한옥은 나무로 기둥과 보를 만들어 심살을 박고 양쪽으로 볏짚을 섞고 황토를 발라 벽을 만드는데, 직경 10~15㎝의 둥근 나무로 서까래를 올리고 산자목 사이로 황토를 발라 지붕의 물매를 잡아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지붕을 만들었음
      • 지붕을 기와로 마무리하면 기와집이고 볏짚으로 마무리하면 초가집, 너와로 마무리하면 너와집, 굴피로 마무리하면 굴피집임
교과서 반영 제안
적정 학교급 교과서 반영 제안

적정 학교급별 주요 관련 교과중 교과서에 반영할 내용을 제안한 내용입니다.

학교급 주요 관련 교과 반영내용
초등저학년 사회
  • - 산림과 연관된 전통문화
  • - 자연을 이용하는 모습
초등고학년 국어, 사회
  • - 현재의 동네 모습과 과거의 동네 모습의 차이
  • - 자원을 이용하는 모습
중학교 기술·가정
  • - 우리 민족이 숲을 신성시한 이유는 무엇일까?
  • - 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
고등학교 기술·가정
  • - 마을숲을 가지는 의미
  • - 문화유산을 통해 알 수 있는 전통생활모습과 산림
보조자료와 사진
사진 설명 : 우리나라 전통 너와집(중요민속자료33호)(좌), 굴피집(우)
유의사항
  • 자연과 더불어 살아온 삶이 지속가능한 방법이었다는 것
  • 일상생활에 숲은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파악하게 한다.
  • 숲은 유형의 자원뿐만 아니라 무형의 다양한 기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4/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