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기초기술

넘어지기(Falling)

넘어지기 연습도 해 둘 필요가 있다. 사고 예측이 없으므로, 불시에 넘어지거나 사고가 나더라도 연습을 해두면 큰 사고로 이어지는 불행을 미리 막을 수 있다. 안전하게 넘어지기는 우선 스키와 스키 폴을 위로 향하게 하고 몸의 등이나 히프로 충격을 받아준다. 기회를 만들어 폴이나 스키의 엣지를 이용하여 계속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멈추게 한다. 경험 많은 스키어들은 넘어지면서도 다시 일어서는 기회를 만들어 내는데, 순발력과 바깥 엣지를 쓸 줄 아는 것이 비결이다.
프리힐 바인딩을 사용하면 깊은 눈에서는 정면으로 넘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한 바퀴를 돌아서 다시 자세를 잡는 것 또한 방법이다.

스키 글리세이드(Ski Glissade)

딱딱한 눈의 급경사 등 상황이 어려울 때에는 글리세이딩을 한다. 두개의 스키 폴을 모아 쥐고서 폴의 뾰족한 부분을 설면에 의지 한 체, 스키의 사이드 슬립을 이용하며 내려간다. 무릎과 발목의 컨트롤을 유연하게 하며, 경사도, 눈의 굳은 상태 등을 파악하여 상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직벽이거나 크레바스지역을 통과할 때에는 안자일렌을 하고서 로프하강을 한다.

자기제동(Self-Arrest)

동계산행을 하면서 우리는 추락 시에 피켈로 자기 제동하는 방법을 익혔으리라 믿는다.
스키에서의 자기제동도 같은 맥락이다. 폴을 이용하여(최근에는 폴의 손잡이에 피크 모양을 한 모델이 있음) 설면에 제동을 걸면 몸의 중심이 바로 잡히게 되고 이어서 서서히 스키의 엣지를 이용하여 멈추게 한다.

산을 오를때
  • 라운드 턴(Rounded turn)
    • 산을 올라갈 때. 천천히 걸어서 스텝을 옮기며 바꾸는 턴이기 때문에 큰 기술이 필요 없다. 바깥 쪽 스키부터 옮겨 놓고 안쪽 스키를 바깥 쪽 스키만큼 옮기고 다시 바깥 쪽 스키가 리드해 가며 언덕을 올라간다.
  • 킥 턴(Kick turn)
    • 킥 턴은 트래버스에서 트래버스로 바로 방향을 180도 바꾸어 주는 이상적인 턴 기술이다. 평지에서 급경사에 이르기까지 정지 상태에서 안정된 턴을 할 수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배워두어야 한다.
산을 내려올 때
  • 스템 턴(Stemmed turn)
    • 양 스키의 앞을 모으고(converging) 뒤를 벌린 체 눈을 헤치며 속도를 조절하여 턴에 진입하며, 언웨이팅 없이 체중 옮기기를 할 수 있는 턴이 다. 스키활강에서의 기초 턴 기술이다.<예 : 왯지 턴(=프로그 보겐=스노우 프라우 턴), 스템 턴>
스템 턴(Stemmed turn) 자세
  • 패러렐턴
    • 두 스키를 나란히 하여 움직이는 스키활강 동작은 가장 효율적이고 체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서 가장 보편적이며 기술의 폭이 넓고 이상적이다. 배우고 익숙해지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상급 스키기술은 모두 패러렐(평행) 턴에 포함되고 있다. <예 : 패러렐 턴, 쇼트 스윙, 베델른, 밴딩 턴, 점프 턴>
패러렐 턴(Stemmed turn) 자세
  • 스케이트 턴(Skating turn)
    • 스케이트 자세는 두 스키의 앞을 벌려서(Diverging) 스케이팅 하며 추진력을 스키어 스스로 만들어 갈 수 있다. 그 때문에 경사가 완만하거나 평지에서도 추진력을 얻으며 턴을 할 수 있다. 경기에서는 선수들이 턴에서 추진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유일한 턴 방식이며 때에 따라서 완경사의 언덕을 올라갈 수도 있다. 두 스키의 앞을 벌린 자세를 Herringbone(생선가시) 또는 Scissors(가위) 자세라 부른다.<예 : 스케이트 턴, 스텝 턴>
  • 텔레마크 턴
    • 두 스키를 앞뒤로 이어서 한 개의 스키 판(mono ski)처럼 만들고 이어진 두 스키의 중간 부분을 굴절시켜서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스키를 이끌어 갈 수 있다. 이 절묘한 턴 기술은 인류가 발명한 최초의 스키 회전기술로서 스키를 설피로서의 수단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해준 대사건이었다.<예 : 텔레마크 턴의 모든 기술, 파라마크>
산오르기 요령
스트라이딩(Striding)

프리힐 바인딩(Freeheel binding)이 설치된 스키를 신고서 큰 걸음으로 걸어서 평지나 산, 언덕을 오르는 것을 스트라이딩이라 한다. 스키 산행에서는 이 동작이 가장 많은 시간동안 쓰여진다. 따라서 정확한 테크닉과 체력 소모를 줄이는 비결 등을 알아 두어야 한다.
평지에 가까운 지형에서는 뒤 스키를 밀어 차면서(Kicking or Pushoff) 앞 스키와 함께 미끄러지기(Gliding)를 하면 속도가 빠르며 체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평지이거나 언덕이거나 스키를 눈 바닥에서 들어올리지 말고 가볍게 끌어서(Shuffling) 옮긴다. 스키를 들어 옮기면 체력 소모가 증가되므로 신경을 써야 한다.
경사가 심한 경우에는 서두르지 말고 뒤로 미끄러지지 않도록(Traction) 체중을 스키 중심에 두고 밟는다. 경사가 심해지면 경사각에 따라 쐐기용 플러그를 사용한다. 스킨도 급경사용으로 털이 강한 것을 쓰는 것이 좋다. 스키는 바닥 전체가 골고루 설면에 닿도록 해야한다. 엣지만 닿거나 체중의 중심이 앞 또는 뒤로 치우치면 트랙션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라이딩에 관한 연습도 필요하다. 스키와 스키 사이의 간격은 어깨 반 넓이 정도 편안하게 한다. 여럿이 동행을 할 때에는 경험이 많은 사람이 앞에서고 나머지 일행은 앞사람의 트레일을 따라간다.
알프스처럼 오랜 시간을 두고 올라가야 할 경우에는 무엇보다 체력을 아끼는 지혜가 필요하다. 폴 찍기에 너무 의존하거나 상체의 불필요한 동작 등을 줄이는 것이 좋다. 팔은 좌우로 넓게 벌려서 균형 유지를 하며 호흡은 크고 깊게 한다. 스텝의 간격은 가능한 길게 하는 것이 좋다.
급경사면에서는 지그재그로 오른다. 가벼운 경사면에서는 라운드 턴으로 심한 급경사에서는 킥턴으로 방향을 바꾸며 지그재그 길을 만들어 간다.

헤링본과 사이드 스텝(Herringboning and Side stepping)

씰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까운 거리의 언덕은 헤링본(생선가시 걸음)이나 사이드 스텝(옆 걸음)으로 오를 수 있다. 경사도 100%가 넘는 설사면도 사이드 스텝으로 모두 등산이 가능하다.

크램폰(Harscheisen)

눈 표면이 지나치게 크러스트 된 경우에는 스킨이 기능을 잃게 된다. 이 때에는 스키의 바인딩에 크램폰을 설치하여 운행한다.

걸어오르기(Walking)

경사가 매우 심하거나 설면의 상태가 스키를 신고 오르기에 부적절한 경우에는 스키를 배낭에 부착하거나 ª은 거리일 때에는 서로 마주 묶은 후 어깨에 메고 오른다. 마운틴 투어 스키에는 스키 앞부분에 구멍이 있어서 썰매를 만들어 끌고 갈 수도 있다.
급경사의 단단한 눈에서는 알파인 크램폰을 부츠에 착용하여 등반용 아이스 액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코리아측에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2.1/5 ]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