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촌이란?
산촌은 국·공유림의 비율과 영급 성숙도가 높아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순환경영의 최적지로 평가 등 자원의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
- 국유림의 77.9%, 공유림의 68.5%가 산촌에 분포
- 산촌은 Ⅲ영급 이상 산림면적이 91.1% 차지
법령에 의한 산촌 이란?
산림기본법 제3조(정의)제2호
“산촌”이란 산림면적의 비율이 현저히 높고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을 말함
산림기본법 시행령 제2조(산촌)
산림기본법 제3조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이란 다음 각 호의 요건에 해당하는 읍·면을 말함
- 1. 행정구역면적에 대한 산림면적의 비율이 70퍼센트 이상일 것
- 2. 인구밀도가 전국 읍·면의 평균 이하일 것
- 3. 행정구역면적에 대한 경지면적의 비율이 전국 읍·면의 평균 이하일 것
제2차 산촌진흥기본계획(2018∼2027)
* 제3차 기본계획은 ’25년부터 수립 예정
법적근거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제23조
계획기간 : 2018∼2027년(10년에 한 번씩 수립)
- 제1차 [산촌진흥기본계획(2008∼2017)]
수립체계 : 산촌진흥기본계획(수립 : 산림청장)
- 산촌진흥계획(수립 : 시·도지사, 법적근거 : 임업진흥법 제23조제7항)
- 산촌진흥촉진계획(수립 : 시·군·구청장, 법적근거 : 임업진흥법 제23조제8항)
’24년 산촌기초조사
법적근거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제24조
- 산촌(진흥·촉진)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전국의 산촌에 대해 10년에 한번씩 기초조사 실시
조사항목 :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2조에 따라 8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
- ① 산림자원 분포·이용 ② 산촌 인구변동 추이 ③ 산촌소득 등 산촌경제 ④ 산촌의 문화·전통 ⑤ 산촌인력 ⑥산촌과 도시 교류 ⑦ 녹색관광과 생태관광 자원 ⑧ 그 밖에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사항
산촌기초조사 추진경과
- 제1차 산촌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산촌기초조사(2003년)
(수행기관) 임업연구원, (조사대상) 산촌지역 119개 시 군, 507개 읍·면 - 제2차 산촌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산촌기초조사(2014년)
(수행기관) 임업진흥원, (조사대상) 산촌지역 109개 시 군, 466개 읍·면 - 제3차 산촌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산촌기초조사(2024년)
(수행기관) 임업진흥원, (조사대상) 산촌지역 108개 시 군, 468개 읍·면
산촌기초조사 대상 산촌 현황
- (’14년) 109개 시·군, 466개 읍·면 → (’24년) 108개 시·군, 468개 읍·면
- ’24년 산촌기초조사 지역별 산촌 현황
12개 시·도, 108개 시·군 내 468개 읍·면에 대한 안내표입니다
구분 |
계 |
부산 |
대구 |
인천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기초지자체 |
108 |
1 |
2 |
1 |
1 |
8 |
15 |
9 |
8 |
9 |
16 |
21 |
17 |
산촌 읍·면 |
468 |
1 |
7 |
3 |
4 |
19 |
93 |
41 |
19 |
46 |
53 |
112 |
70 |
광역시·도 |
1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산촌지역 면적(’24년 산촌기초조사 결과)
2024년 산촌지역 면적-산촌기초조사 결과 산촌의 (산림)국유림, 공유림, 사유림, 산림외 면적
구분 |
전체면적(A+B) |
합계 |
산림(A) |
산림 외(B) |
계 |
국유림 |
공유림 |
사유림 |
산촌 |
426만ha |
345만ha (100%) |
118만ha (33%) |
30만ha (9%) |
197만ha (58%) |
81만h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