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정아우세성
정아우세성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정아우세성
영문명 apical dominance
한자명 頂芽優勢性
용어설명 정아 또는 주지 (정아지)가 측아 또는 측지보다 더 잘 자라는 현상이다. 정아가 측아의 생장을 억제하는 생리현상은 정아가 고농도의 옥신을 생성하여 측아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보통 침엽수나 활엽수 모두 어린 유묘에서 정아우성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그늘진 환경조건에서 생존하는 데 유리한 형질이다. 유묘기나 치수기를 지나면 보통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더 강한 정아우성을 갖고 있어서 침엽수는 원추형 수형을 만든다. 활엽수가 성숙기에 접어들면 정아우성 현상이 없어지고, 여러 개의 주지 (즉 여러 개의 측지)가 만들어져 결국 주지가 없는 부채형 수형을 나타내게 한다. 밀식된 임분에서 정아우성이 오래동안 지속된다. 우리나라 소나무 중에서 금강소나무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는 유전적으로 정아우성이 강한 나무이고, 정원수로 심고있는 반송(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은 반대로 정아우성이 약한 나무이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