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토양경도
토양경도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토양경도
영문명 soil hardness
한자명 土壤硬度
용어설명 흙의 굳기 또는 치밀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토양경도계를 사용하여 수치로 표시한다. 엄밀하게는 토양입자의 결합력과 마찰력에 저항하여 토양 내부에 경도가 큰 재료를 일정 용적으로 채워 넣는데 필요한 힘으로써 측정되는 지표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토양경도는 입경조성, 공극량, 용적중(容積重), 함수상태 등이 종합적으로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식물의 침입과 생육, 특히 뿌리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최근에는 기계장비의 주행 등에 대한 토양 지지력의 판정에도 사용된다. 토양단면 조사나 비탈면의 토양표면에서는 야마나카(山中)식 토양경도계가 주로 사용되는데, 8 ㎏ 압력을 갖는 스프링의 축소량을 ㎜ 단위로 표시한 값을 지표경도(指標硬度) 또는 경도지수(硬度指數)라 하며, 단순히 토양경도 또는 경도로서 이 값을 사용하는 것이 많다. 토양경도지수 23~27㎜에서는 식물 생육에 장해를 받으며, 27~30㎜ 이상이면 너무 단단하여 식물뿌리의 침입이 불가능해진다. 유효토층의 두께 등 깊이 방향의 굳기 상태를 조사할 때에는 관입시험기(貫入試驗器)가 주로 사용된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