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형수
형수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형수
영문명 form factor
한자명 形數
용어설명 어떤 특정한 직경과 수고를 갖는 나무의 재적과 동일한 직경과 높이를 가는 원주의 체적간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수간의 직경과 높이가 같은 원주를 상상하여 수간재적과 원주체적의 비를 구할 수 있다. 이로부터 얻어지는 비를 형수라고 하는데,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형수=수간재적/원주체적이 된다. 수간의 특정 부위의 직경을 이용하여 계산한 단면적을 g, 그리고 수고를 h라 하면 원주체적은 gh가 된다. 그리고 수간재적을 V라 하면 형수 f는 f=V/gh가 된다. 따라서 형수 f가 결정되면 수간재적 V는 원주체적에 f를 곱하여 V=ghf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수를 사용하여 임목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을 형수법이라 한다. 형수를 계산하는 식에서 단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어느 부위의 직경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형수는 정형수, 흉고형수(재적계수), 절대형수 등으로 분류된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