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절멸
절멸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절멸
영문명 extinction
한자명 絶滅
용어설명 생물종이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이들이 사라진 정도와 심각성은 다르지만 모두 멸종이라고 말한다. (1) 진화론적 관점: 어떤 생물의 분류군이 생물의 진화도중에 자손 생물을 남기지 않고 없어지는 것. 자연적인 메카니즘에서는 그 주원인이 기후조건으로 대표되는 무기적 요인에 의한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새롭게 생겨난 종류와의 생존경쟁으로 대표되는 생물적 요인에 의한 것인가가 언제나 문제가 된다. 지질시대에 많은 종류의 생물이 동시에 대량멸종 (mass extinction)한 예는 페름기 말이나 백악기 말에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범세계적 해퇴(海退)에 의해 생물종이 가장 많은 해안선 부근의 환경이 급변하여 먹이사슬의 균형이 붕괴된 것이 주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백악기 말에는 특수화된 생물이 멸종하였다. 한편 제4기에 들어선 이후의 포유류, 파충류의 절멸은 인류의 수렵에 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2) 보전생물학적 관점: 어떤 지역에서 어떤 생물개체군이 없어지는 것. 자연적인 메카니즘에서는 환경변동에 의한 확률성(environmental stochasticity)에 의해 적당하지 않은 환경이 잠시 계속되는 것과, 개체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생기는 개체군동태학적 확률성(demographic stochasticity)이 함께 작용하여 절멸이 생긴다. 또 개체수가 적어져서 근친교배 때문에 생존율이 감소하기도 하고 유전적 균일화 때문에 병원체에 감염되기 쉬워지는 것도 그 원인이 된다. 그러나 지금은 인위적인 환경오염이나 서식지 훼손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다. 야생생물 보호구역의 크기나 수, 형상 등을 어떻게 정하면 집단의 절멸이 일어나지 않게 될 것인가가 연구되고 있다. 야외에서는 국소개체군이 빈번히 절멸하고 그 뒤를 다른 개체군이 재침입(reinvasion)하여 회복하는 상황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다수의 국소개체군을 합친 전체를 메타개체군이라고 한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