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산림녹화
산림녹화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산림녹화
영문명 afforestation
한자명 山林綠化
용어설명 1872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된 식목일(arbor day; 식목일)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한국은 8ㆍ15광복 이후 매년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하여 나무를 심고 가꾸는 날로 삼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날로 파괴되어 가는 생태계를 보호하자는 운동과 함께 녹화운동을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도시공원법에 의거한 공원녹지계획을 추진하는 시민운동으로서의 측면을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현대도시가 심각하게 안고 있는 대기오염과 소음공해의 방지를 위해서 녹지지역의 확대는 그린벨트지역을 설정하여 녹지를 자연 그대로 보전하려는 운동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와 같이 녹화운동을 거국적으로 벌이는 이유는 산에 나무가 없으면 기후불순ㆍ수원(水源)고갈ㆍ홍수피해 등이 생기고, 특히 땅이 황폐화되며, 목재를 수입에 의존하게 되므로 국민경제에 압박을 받게 된다. 또한 야생동ㆍ식물이 서식처를 잃게 되어 멸종위기에 처하며, 푸른 숲이 없는 황폐화된 자연환경은 국민의 건전한 정서생활을 저해하여 퇴폐와 타락을 조장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건축이나 주택건설시 조림을 의무화하는 것 역시 도시인의 정서생활에 이바지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