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시간선호
시간선호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시간선호
영문명 time preference
한자명 時間選好
용어설명 개인들은 미래에 얻는 편익보다 현재의 편익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미래에 얻게 되는 편익을 할인하는데 이를 시간선호 (time preference)라 한다. 시간선호는 2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첫째, 소비자가 미래보다 현재 더 소비를 하려하는 조급함의 측정치인 시간선호율이고, 둘째, 생산적 투자에 대한 수익률이다. 이것은 현재의 소비를 저축과 투자로 연기함으로써 얻게 될 미래소비의 증가에 대한 “희망”의 측정치이다. 시간선호는 미래의 소비에 의한 만족보다는 현재 소비하는 만족이 더 크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인간의 심리적 이유 때문이며, 따라서 오늘 소비하고 내일은 내일 관심을 가지려는 태도에 연유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오늘 소비함으로써 미래의 예기치 못한 소비기회의 상실과 이자소득이 감소된다 할지라도, 오늘 이용가능한 약간의 돈이 있다는 것을 인지함으로써 사람의 안전에 대한 만족이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선호에 대한 또 다른 이유는 인간은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자원을 이용할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은 투입물의 총가치보다 큰 가치를 갖는 제품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제조업자가 자원을 생산에 투입할 때 현재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제품이 더 높은 가치를 갖게 됨으로써 희소자원의 생산투입을 정당화한다. 따라서 생산을 통한 가치의 부가능력은 자금을 빌려주는 것이 그 자신은 부의 창출기회를 없앤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자금 대여자는 그 대가를 보상받으려 하는데 그것이 바로 이자이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