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아브네이측고기
아브네이측고기의 국문명, 영문명, 한자명, 용어설명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입니다."
국문명 아브네이측고기
영문명 Abney hand level
한자명 아브네이測高器
용어설명 아브네이측고기는 본래는 물리학에서 일반구조물의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 가볍고 구조가 간편하며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수고측정에도 많이 사용되며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이 측고기의 구조는 길이 15cm, 1변의 길이 1.5cm의 4각형으로 된 상자에 수준기, 고저 분도환과 수준기조정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자의 한쪽에는 시준공이 있어 이를 통하여 목표물을 시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사용방법은 나무의 초두부(梢頭部, tip)를 시준공을 통하여 시준하면 통 내부의 반사경에 의하여 수준기의 기포를 수평위치에 오도록 수준기조정 손잡이를 조정하여 수준기의 기포축과 시준선이 이루는 각이 분도환에 나타나게 한다. 이때 분도환의 각을 표시하면 고저각을 표시할 수 있으나 탄젠트로서 표시하면 수직거리 즉, 수고를 측정할 수 있다. 수고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나무의 초두부와 근부(根部)에서 읽은 수치를 합하면 된다. 이때 기구의 눈금은 탄젠트를 %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순또측고기의 원리와 같이 만약 100m 전방에서 측정하면 분도환에서 가리키는 수치가 바로 수고가 되며 20m 전방에서 측정하였다면 분도환에서 기리키는 수치에 1/5를 곱해줌으로써 수고를 측정할 수 있다.
첨부파일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