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지구온난화에 의한 산림피해 가시화, 소나무고사
  • 작성일2009-06-30
  • 작성자 / 장**
  • 조회908
  • 음성듣기
    음성듣기
지구온난화에 의한 산림피해 가시화, 소나무고사  이미지1 지구온난화에 의한 산림피해 가시화, 소나무고사  이미지2


금년 지구온난화와 맞물려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소나무가
대규모로(8,416ha, 97만본) 고사하였다. 지난해 가을부터 시작된 남부지역의 극심한 가뭄과 함께 금년 2월과 3월의 이상고온이 지속된 바,
겨울철에도 잎이 달려있는 소나무들이 가뭄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대규모로 고사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지구온난화로 이와 유사하게 고온과 가뭄으로
인해 침엽수림의 고사현상들이 발생하고 있는 바, 미국 서부지역에서도 1970년대 이후 고사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수목이 고온과 가뭄스트레스를 받으면
병해충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아열대성 병해충의 월동이 가능해지며, 급속한 환경변화로 활력이 있는 천적이 감소하는 등 여러 요인으로 병해충의
창궐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가 아니더라도 천이초기종인 소나무는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앞으로도 계속하여 다른 수종으로 자리를 내주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 추세의 빠른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소나무림이 생활사를
완수하기에 적합한 분포범위를 보면 금세기 내에 강원도와 일부 높은 산지로 국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소나무의 특성, 최근 소나무 고사
현황, 고사원인 분석,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의 미래전망과 함께 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제시하였다.문 의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임종환
박사(02-961-2604)

첨부파일
  • 155-1 소나무 고사원인과 미래 전망.hwp [8.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155-2 밀양 소나무 고사피해지.jpg [1.2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155-3 무주 잣나무 집단고사지 잣나무는 고사한 반면 낙엽송과 굴참나무 등 겨울에 잎을 떨어뜨리는 나무들은 살아있음.jpg [1.6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155. 지구온난화에 의한 산림피해 가시화 소나무고사.hwp [43.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