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산불피해지, 산사태 위험 ‘주의보’ 기준 강화한다!
  • 작성일2025-06-12
  • 작성자연구기획과 / 유림 / 031-290-1191
  • 조회686
음성듣기
음성듣기

산불피해지, 산사태 위험 ‘주의보’ 기준 강화한다! 이미지1


산불피해지, 산사태 위험 ‘주의보’ 기준 강화한다!
- 국립산림과학원, 초대형 산불피해지를 반영한 산사태 예·경보 기준 고도화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이번 주 장마 시작을 앞두고, 초대형 산불피해지의 토양 특성을 반영한 산사태 예·경보 기준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산불로 인해 산림이 훼손된 지역은 토양 구조가 약화하여 산사태 위험이 커지는 만큼 피해지역에 대한 맞춤형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을 적용해 산불에 따른 2차 피해를 예방할 계획이다.

기존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KLES: Korea Landslide Early-warning System)은 토양 내 물의 양인 ‘토양함수량’에 따라 ▲80%일 때 ‘주의보’, ▲90%일 때 ‘예비 경보’, ▲100%일 때 ‘경보’를 했다. 그러나 국립산림과학원이 과거 산불피해지의 산사태 발생 조건을 분석한 결과, 토양함수량 60% 수준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대형산불이 발생했던 영남 지역 산불피해지는 산사태 위험 기준을 별도로 설정하고, 조기에 경보가 발령될 수 있도록 예측 기준을 조정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 산사태 조기경보와 실시간 위험도 예측 정보를 산사태 정보시스템(https://sansatai.forest.go.kr)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1시간부터 48시간 후까지의 산사태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예측하여 국민의 신속한 대피와 대응을 돕는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창우 과장은 “초대형 산불피해지의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산사태 예측기준을 조정하였다”라면서, “이를 통해 산불피해지의 산사태 위험을 미리 예측하여 주민의 신속한 대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첨부파일
  • (보도자료) 산불피해지 산사태 위험 주의보 기준 강화한다.hwp [203.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산사태 예경보 모델.JPG [131.7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